티스토리 뷰
15장 let,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
15. 1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문제점
※ 변수 중복 선언 허용
var x = 1;
var x = 10; // 가능
※ 함수 레벨 스코프 -> 전역 변수를 남발할 가능성을 높여 의도치 않게 전역 변수가 증복 선언될 가능성 있음
var i = 100;
for (var i = 0; i < 10; ++i) {
console.log(i);
}
console.log(i); // 10
※ 변수 호이스팅 -> 변수 선언문 이전에도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오류를 발생시킬 여지를 남김.
console.log(x); // undefined
x = 100;
console.log(x); // 100
var x;
15.2 let 키워드
var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, ES6에서 let, const가 도입됨.
※ 변수 중복 선언 금지
let x = 10;
let x = 987654321; // Error!
※ 블록 레벨 스코프
var x = 100;
{
var x = 555;
var y = 333;
}
console.log(x); // 100
console.log(y); // ReferenceError
※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.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. 초기화는 변수 선언문에 도달했을 때 실행
console.log(x); // ReferenceError
let x;
console.log(x); // undefined
x = 100;
console.log(x); // 100
※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기에 window.~ 와 같이 접근할 수 없음.
15.3 const 키워드
주로 상수(constant)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
※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꼭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해야 함. 왜냐하면 문법 에러도 발생하고, const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불가능하기 때문.
const x; // SyntaxError
※ 객체를 할당할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있음. 객체의 경우, 주소값을 저장하기에 그 주소에 있는 값들은 변경할 수 있기 때문.
const x = 100;
x = 200; // TypeError
15.4 var vs. let vs. const
- var는 사용하지 않는다.
- 재할당이 필요하면 let, 일기 전용 등에는 const
'독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빌트인 객체 (0) | 2023.02.04 |
---|---|
strict mode (0) | 2023.02.04 |
한 권으로 읽는 컴퓨터 구조와 프로그래밍 1장 조금 정리 (1) | 2023.01.27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스택
- CSS
- 백준
- 리액트
- 순열
- 브루트포스
- 프로그래머스
- Redux
- react router
- 햄버거버튼
- SQL
- 카카오맵
- 알고리즘
- themoviedb
- aws
- Next.js
- 동적계획법
- 자바스크립트
- NextJS
- BFS
- 비트마스킹
- 넥스트js
- 코드스테이츠
- 완전탐색
- 타입스크립트
- typescript
- 구현
- C++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react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